강릉 버스 233, 234
마지막 편집:1. 노선 정보[편집]
기점 |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교동(강릉역건너편) | 종점 |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교동(강릉역건너편) | ||
종점행 | 첫차 | 07:45 | 기점행 | 첫차 | - |
막차 | 07:45 | 막차 | - | ||
운수사명 | 배차간격 | 1일 1회 | |||
노선 | 강릉역건너편 → 옥천119안전센터 → 교보생명 → 용강동서부시장 → 적십자 → 시외고속터미널 → 소방서 → 유천지구 → 구름다리 → 강일여고 → 강릉역건너편 |
2. 개요[편집]
강릉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.
3. 역사[편집]
- 2019년 12월 9일에 사천, 연곡지역 버스노선을 폐선하면서 그간에 불편이 이어졌던 시내교통 확충을 목적으로 잉여 차량을 이용해 신설되었다.
-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강릉시 방문 관광객 및 교통수요가 감소하면서 2020년 3월부터 233번은 112-1, 315, 333-1번과 같이 무기한 운행중지되었고, 234번은 233번처럼 운행중지되었다가 7월부터 104, 109번과 같이 첫차만 운행하게 되었다.
- 2021년 3월 2일부터 233번도 1일 1회 운행을 재개했으나, 코로나-19의 재확산으로 다시 운행이 중단되었다. 현재는 다시 233, 234번 다 1회만 운행한다.
4. 특징[편집]
- 202번과 더불어 강릉역을 중간 경유하는 노선 중 화부산교차로에서 유턴하지 않는 몇 안 되는 노선이다.
- 이 노선 신설 이전에도 안목/공단→강릉역 구간은 강릉선 KTX 개통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여파로 인해 제법 많은 노선[1]이 운행했으나 막상 시내→강릉역 노선은 시원찮은 수준이었다. 그도 그럴 것이 기점방향 노선들은 그냥 옥천오거리에서 직진하며 돌아갔기 때문. 그렇다보니 시내에서 강릉역을 가려면 202-1, 223-1, 225-1, 303-1, 303-2, 314-1, 314-2번 밖에 없었다. 문제는 223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배차간격이 심각한 수준이었다는 것. 결국 사천/연곡행 장거리 노선들을 쳐내면서 강릉역 접근성 강화를 위해 노선을 신설하게 된다.
- 202, 202-1번의 단축노선이나 다름없다. 233번을 보면 202, 202-1번과 같이 다니다가 부영5차/교동현대 2차 사거리서 직진하여 강일여고를 찍고 이명사거리에서 다시 만나 강릉역으로 간다. 234번은 당연히 반대로 들어간다.
- 233번은 문성고등학교를 경유한다.
- 동해상사는 233번 운행시에 주문진 노선에서 1대가 지원운행한다. 동진버스는 234번 운행시에 관동대 노선에서 1대가 지원운행 한다.
5. 연계 철도역[편집]
- 파일:코레일_기본_로고.svg 일반 철도역: 강릉역 (KTX, 누리로, 바다열차, 동해산타열차)
[1] 101, 102, 111, 111-1, 112, 113, 202, 223(223-1), 225(225-1) 300, 302, 303, 304, 308, 312, 313, 314